반응형
@당악
통일신라시대와 고려시대에 유입된 당나라의 음악과 송나라의 음악.
원래부터 있었던 향악과 구분하기 위해 붙인 이름으로, 오늘날 한국음악에서 당악이라고 할 때, 당나라 음악에서 유래된 것은 없고 거의가 송나라 사악(詞樂)에서 유래된 것들이다. 고려시대에는 향악을 우방악(右坊樂)이라 하고 당악을 좌방악(左坊樂)이라고 하였다. 당악이 한국에 들어온 사실을 기록한 최초의 문헌은 《삼국사기》로, “신라 문무왕(文武王) 4년 성천(星川)과 구일(丘日) 등 28명이 부성(府城)에서 당악을 배웠다”는 기록이 있다. 이 후 신라가 당의 음악의 영향을 받은 사례는 많지만 그 음악이 구체적으로 어떤 종류의 것이었는지 밝히기가 힘들다.
이어 고려에 당의 음악이 들어온 것은 제4대 광종(光宗:재위 950∼976) 때로, “당의 악기와 공인을 청하였고, 충숙왕(재위 1314∼1330) 때까지도 그 자손들이 이어받았다고 한다”는 기록이 조선 《태종실록(太宗實錄)》에 실려 있다. 한편 《고려사》 '악지(樂志)'의 기록을 보면 송의 사악으로는 《석노교곡파(惜奴嬌曲破)》 《만년환만(萬年歡慢)》 《낙양춘(洛陽春)》 《감황은(感皇恩)》 《수룡음만(水龍吟慢)》 《금전락(金殿樂)》 등 43편이 있다. 이 밖에도 당악정재(唐樂呈才)에 나오는 음악까지를 합하면 더 많은 숫자가 된다.
♣ 생명 있는 모든 것에 눈맞추고
♣ 생명 있는 모든 것을 사랑하는
♣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 이맘때 야생화, 한국의 고택과 전통가옥, 물이 있는 풍경, 국보와 천연기념물, 세상의 모든 약초 약용식물, 곤충과 벌레를 찾아나서는 @muhak나구여! 여행 앨범입니다.
티스토리, TISTORY http://muhsk1.tistory.com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nageune-ui guseogguseog yeohaeng Every corner of the stranger modeun geos-eulobuteo jayuin, muhak Free from all, obscure
--------------------------------------------------------------------------------------------------
nageune-ui guseogguseog yeohaeng
Every corner of the stranger
modeun geos-eulobuteo jayuin, muhak
Free from all, obscure
728x90
반응형
'아하! 그렇군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언더그라운드음악(韓國의언더그라운드音樂), 대중음악 가운데 주류에 속하지 않는 조류를 통칭하는 음악용어 (0) | 2021.09.03 |
---|---|
청구영언, 조선 영조 때의 가인(歌人) 남파(南坡) 김천택(金天澤)이 고려 말엽부터 편찬 당시까지의 여러 사람의 시조를 모아 1728년(영조 4)에 엮은 고시조집 (0) | 2021.09.02 |
문묘제례악, 공자(孔子)의 신위를 모신 사당에서 제사를 지낼 때 쓰는 음악 (0) | 2021.09.02 |
고려가요, 고려시대의 시가(詩歌) (0) | 2021.09.02 |
거문고산조,거문고를 위한 독주곡 (0) | 2021.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