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소사싸움
임진왜란 때 명(明)나라 군사가 왜병과 싸워 대승한 전투
평양 ·행주(幸州)의 전투와 함께 임진왜란의 육상(陸上)3대첩이라 한다. 1597년(선조 30)에 전라도 전주에서 합류한 왜병(倭兵) 중 모리[毛利]의 군사와 가토[加藤]의 군사는 공주(公州)를 거쳐 전의(全義)·진천(鎭川)에 이르고, 그 일부인 구로타[黑田]의 군대는 직산(稷山)까지 북상하였다. 이때 명나라의 양호(楊鎬)는 부총병(副總兵) 해생(解生)·우백영(牛伯英)·양등산(楊登山) 등을 남진하게 하여 9월 5일에 직산 북쪽 소사평(素沙坪:弘慶院)에서 구로타가 인솔한 왜병과 충돌하여 일대 격전을 벌이게 되었다. 왜군은 하루 6번의 회전(會戰)에 매번 패하고 6일 새벽에 전세의 만회를 꾀하다가 또다시 패하여 목천(木川)·청주(淸州)를 거쳐 도주하였다. 다른 전투는 공성(攻城)이나 수비(守備)였음에 비해 일대 회전(會戰)이었다는 점이 이 전투의 특징이고, 왜군은 이로써 진군의 계획이 어긋났으며 더 북진할 의욕을 잃게 되었다.
@안시성싸움
645년(고구려 보장왕 4) 안시성에서 고구려와 당나라 군대 사이에 벌어졌던 치열한 공방전(攻防戰)
안시성은 당시 인구 약 10만에 이르던 고구려의 영지로, 지금의 랴오닝성[遼寧省] 하이청[海城] 남동쪽에 있는 잉청쯔[英城子]이다. 643년 고구려와 백제를 정벌하라는 신라의 요청을 받은 당나라는 고구려에 사신을 보내 차후 신라를 침범하지 말도록 권유하였으나 고구려가 이에 불응하자 연 개소문(淵蓋蘇文)의 영류왕(榮留王) 살해 및 대신(大臣) 학살사건의 문책을 표방하고 644년 11월 당 태종 친솔(親率)의 10만 고구려 원정군을 일으켰다. 이듬해 4월부터 개모성(蓋牟城:瀋陽 동남쪽)·비사성(卑沙城)·랴오양[遼陽]·백암성(白巖城)을 차례로 점령한 당군은 6월에는 안시성을 공략하기 위해 진격하였다. 이에 고구려는 북부욕살(北部褥薩) 고연수(高延壽), 남부욕살 고혜진(高惠眞)을 대장으로 한 15만의 군사를 안시성에 보냈으나 패하여 두 사람은 3만 6800명을 이끌고 항복하였다. 이에 당태종은 이세적(李世勣)을 시켜 안시성에 대한 총공격을 개시, 그 휘하 장수 도종(道宗)은 먼저 많은 군사를 동원하여 안시성 남쪽에 토산(土山)을 쌓아올려 점점 성높이와 같게 하였으나 성 안에서도 이에 따라 성을 높여 막았다. 당군은 하루에 6∼7차례 충거(衝車 :큰 나무로 성에 충격을 주는 攻城器)·포거(抛車:돌을 날리는 공성기) 등을 동원, 성을 파괴하면 성 안에서는 곧 목책을 세워 이를 보완하였다.
♣ 생명 있는 모든 것에 눈맞추고
♣ 생명 있는 모든 것을 사랑하는
♣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 이맘때 야생화, 한국의 고택과 전통가옥, 물이 있는 풍경, 국보와 천연기념물, 세상의 모든 약초 약용식물, 곤충과 벌레를 찾아나서는 @muhak나구여! 여행 앨범입니다.
티스토리, TISTORY http://muhsk1.tistory.com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nageune-ui guseogguseog yeohaeng Every corner of the stranger modeun geos-eulobuteo jayuin, muhak Free from all, obscure
--------------------------------------------------------------------------------------------------
nageune-ui guseogguseog yeohaeng
Every corner of the stranger
modeun geos-eulobuteo jayuin, muhak
Free from all, obscure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