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리 산야의 들꽃 야생화,
매화(210326)
행복충전소 비해당의 이맘때 들꽃
Ⅰ. 어원
‘매화(梅花)’는 한자 ‘梅’와 ‘花’의 합성어로서, 사군자(四君子: 梅, 蘭, 菊, 竹)의 하나이다. ‘매(梅)’의 고자(古字)로서 ‘某’가 있다. 특히 ‘某’자는 매실(梅實)이 시고 달기 때문에 ‘甘’자와 ‘木’자를 합성한 것이다.<陳泰夏>
Ⅱ. 무속·민속
[회춘] 매화는 만물이 추위에 떨고 있을 때, 봄소식을 가장 먼저 알려 주는, 삶의 의욕과 희망을 되찾아 주는 눈 속의 꽃이다. 겨울의 매화는 죽은 용의 형상인데, 여기에서 꽃이 피어남은 늙은 몸에서 정력이 되살아나는 회춘(回春)을 상징한다. 매화를 집 안에서 가꾸는 것만으로도 춘정(春情)을 북돋우며, 그 열매로 담근 술은 강장 효과가 있다.
[사랑] 매화는 사랑을 상징하는 백 가지 꽃 중에서 으뜸이다. 모란이 부귀, 연꽃이 군자, 난초가 은군자와 귀녀, 국화가 은일자, 해당화가 신선인 데 비해, 매화는 꽃 중의 우두머리라고 ‘백미고사(白眉故事)’에서 설명하고 있다. 매화는 여성의 비녀 그림에 가장 많이 등장하고, 민화의 화조도(花鳥圖)에도 즐겨 그려진다. 모두 사랑을 불러 일으키는 상징이다.<金玟基>
♣ 생명 있는 모든 것에 눈맞추고
♣ 생명 있는 모든 것을 사랑하는
♣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 이맘때 야생화, 한국의 고택과 전통가옥, 물이 있는 풍경, 국보와 천연기념물, 세상의 모든 약초 약용식물, 곤충과 벌레를 찾아나서는 나그네의 여행 앨범입니다.
티스토리, TISTORY http://muhsk1.tistory.com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nageune-ui guseogguseog yeohaeng Every corner of the stranger modeun geos-eulobuteo jayuin, muhak Free from all, obscure
--------------------------------------------------------------------------------------------------
nageune-ui guseogguseog yeohaeng
Every corner of the stranger
modeun geos-eulobuteo jayuin, muhak
Free from all, obscure
728x90
반응형
'우리 산야의 들꽃 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산야의 들꽃 야생화, 돌당풍(210328) (0) | 2021.03.29 |
---|---|
우리 산야의 들꽃 야생화, 산개나리(210326) (0) | 2021.03.27 |
우리 산야의 들꽃 야생화, 회양목(210326) (0) | 2021.03.27 |
우리 산야의 들꽃 야생화, 종지나물 (0) | 2021.03.25 |
우리 산야의 들꽃 야생화, 머위 (0) | 2021.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