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리 산야의 들꽃 야생화, 소나무 수꽃 나그네의 야생화 구석구석 여행 소나무 소나무과의 상록 침엽교목. Ⅰ. 개관 소나무과의 상록 침엽교목. 솔 ·솔나무라고도 한다. 한자어로 송(松)·적송(赤松)이라 한다. 줄기는 높이 35m, 지름 1.8m 정도이며 나무껍질은 적갈색이나 밑부분은 흑갈색이다. 바늘잎은 2개씩 뭉쳐나고 길이 8~9cm, 나비 1.5mm로 밑부분의 비늘은 2년 후에 떨어진다. 꽃은 5월에 피고 수꽃은 새가지의 밑부분에 달리며 황색으로 길이 1cm의 타원형이다. 암꽃은 새가지의 끝부분에 달리며 자주색이고 길이 6mm의 난형이다. 열매는 난형으로 길이 4.5cm, 지름 3cm이며 실편은 70~100개이고 다음해 9~10월에 황갈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길이 5~6mm, 나비 3mm의 타원형으로 흑갈색이며 날개는 연한 갈색 바탕에 흑갈색 줄이 있다. 잎은 각기 ·소화불량 및 강장제로, 꽃은 이질에, 송진은 고약의 원료 등 약용으로 쓴다. 화분은 송아가루로 다식을 만들며 껍질(인피부)은 송기떡을 만들어 식용한다. 건축재 및 펄프용재로 이용되고 테레핀유는 페인트, 니스용재, 합성장뇌의 원료로 쓰인다. 관상용 ·정자목 ·신목(神木)·당산목으로 많이 심었다. 중국 북동부 ·우수리 ·일본에 분포하고 한국의 북구 고원지대를 제외한 전역에 자라며 수직적으로는 1,600m 이하에 난다. 남복송(男福松:for. aggregata)은 열매인 구과(毬果)가 가지의 기부에 모여난다. 금송(for. aurescens)은 잎의 기부 부분을 제외하고 전부 황금색 빛깔을 띤다. 여복송(女福松:for. congesta)은 열매인 구과가 가지의 끝부분에 여러 개가 모여달린다. 금강소나무(for. erecta)는 줄기가 밋밋하고 곧게 자라며 외형적으로 소나무의 형태이나 곰솔의 요소가 있기 때문에 소나무와 곰솔간의 잡종으로 본다. 처진소나무(for. pendula)는 가지가 가늘고 길어서 아래로 늘어진 형태이다. 반송(盤松:for. multicaulis)은 줄기 밑부분에서 굵은 곁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수형이 우산처럼 다북하다. 은송(for. vittata)은 잎에 백색 또는 황금색의 가는 선이 세로로 있다. Ⅱ. 신화와 상징 성주[成造]는 천성의 천궁(天宮)에서 살았는데 하늘에서 죄를 짓고 지상으로 유배되었다. 강남에서 오던 제비를 따라 경북 안동 땅 제비원에 이르러 솔씨를 받아 산천에 뿌렸다. 그 솔이 자라 재목감이 되자 성주는 자손번창과 부귀공명을 누리게 해줄 성주목을 골라 집을 지었다. 이 때 성주는 대들보에 좌정하였으므로 상량신(上樑神)이라고도 한다. ‘성주풀이’에서 대주(垈主:가장)가 잡는 성줏대는 소나무가지이며 성주의 상징이다. 마을을 수호하는 통신목(洞神木) 중에는 소나무가 큰 비중을 차지하며 산신당(山神堂)의 산신목은 거의 소나무이다. 소나무가지는 부정(不正)을 물리치고 제의(祭儀)공간을 정화(淨化)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제의신당의 주위에 금줄을 칠 때 왼새끼에 소나무가지를 꿰어 두는데 이는 밖에서 들어오는 잡귀와 부정을 막아 제의공간을 정화 및 신성화하기 위한 것이다. 출산 때나 장을 담을 때에 치는 금줄에 숯 ·고추 ·백지 ·솔가지 등을 꿰는 것도 잡귀와 부정(不淨)을 막기 위한 것이다. 소나무는 오래 사는 나무이므로 예로부터 십장생(十長生)의 하나로 장수(長壽)를 하였으며, 비바람 ·눈보라의 역경 속에서 푸른 모습을 간직하고 있어 꿋꿋한 절개와 의지를 나타내는 상징으로 쓰여 왔다. 꿈에 소나무를 보면 벼슬을 할 징조이고, 솔이 무성함을 보면 집안이 번창하며, 송죽 그림을 그리면 만사가 형통한다고 해몽한다. 반대로 꿈에 소나무가 마르면 병이 난다고 하였다. 속리산 법주사 입구에 이는 정이품송(正二品松)은 세조가 행차할 때 타고 가던 연(輦)이 소나무 밑을 지날 때 스스로 가지를 들어올려 연이 무사히 지나갈 수 있게 하였다. 세조는 이 소나무의 신이(神異)함에 탄복하여 정이품의 벼슬을 내렸다. 강원 영월의 장릉(莊陵) 주위에 있는 소나무들은 모두 장릉을 향해 마치 읍(揖)을 하고 있는 것 같은 모습으로 굽어져 있다. 이는 단종(端宗)을 애도하고 그에 대한 충절을 나타낸 것이라고 믿고 있다. 옛날 식자층에서는 소나무를 절개의 표상으로 삼았다. 이이(李珥)는 세한삼우(歲寒三友)라 하여 송 ·죽 ·매를 꼽았고, 윤선도(尹善道)는 그의 시조 오우가(五友歌)에서 벗으로 쳤다. 성삼문(成三問)이 죽음을 당할 때 지은 ‘독야청청(獨也鯖靑)하리라’라고 한 시는 충절의 노래이다. Ⅲ. 용도 소나무의 목재는 오랜 세월 동안 다방면으로 이용되어 왔다. 건축재로서 기둥 ·서까래 ·대들보로, 관재(棺材)로, 조선용 등으로 쓰였으며, 특히 경북 북부와 강원의 태백산맥에서 나는 춘양목(春楊木)은 재질이 우수하여 창틀 ·책장 ·도마 ·다듬이 ·병풍틀 ·말 ·되 ·벼룻집 등의 가구재로, 소반 ·주걱 ·목기 ·제상 ·떡판 등의 생활용품으로, 지게 ·쟁기 ·풍구 ·물레통 ·사다리 등의 농기구재 등으로 이용되었다. 현대에도 완구 ·조각재 ·가구 ·포장용 상자 ·펄프 ·합판 등 용도가 다양하다. 연료로도 주종을 이루었다. 온돌에 소나무장작을 때었고 취사용으로 솔갈비가 가장 뛰어났으며 조리에는 송탄(松炭)을 사용하였다. 《경국대전》에는 각 지방에서 장정들을 징집해서 소나무로 숯을 구워 바치도록 하였다는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또 향탄산(香炭山)을 지정하여 주민으로 하여금 숯을 굽게 하여 상납시켰다. 소나무의 줄기에 상처를 내어 채집한 송진(松津)은 용제(溶劑)·의약품 ·화학약품의 원료로 이용되었다. 소나무의 속껍질을 백피(白皮)라 하여 생식하거나 송기떡을 만들어 먹거나 솔잎을 갈아 죽을 만들어 먹는 등 구황식품(救荒食品)으로 이용하였다. 한방에서는 송진을 송향(松香)이라 하며 거풍(祛風)·진통 ·배농(排膿)·발독(拔毒) 등에 효능이 있어 풍습(風濕)·악창(惡瘡)·백두(白兜) 등의 치료에 처방한다. 소나무를 벌채한 후 3~4년이 지난 소나무뿌리에 외생균(外生菌)이 공생한 균괴(菌塊)를 복령(茯笭)이라 하여 귀한 약재로 쓰인다. 소나무로 만든 술은 거풍 ·소종(消腫)·이뇨 등의 효력이 있으며 송엽주(松葉酒)·송실주 ·송운주 ·송하주 ·송절주(松節酒) 등이 있다. 송엽주와 송실주는 늦은 봄에서 초여름에 풋솔잎이나 풋솔방울을 따서 담은 술이다. 송하주는 동짓날 밤에 솔뿌리를 넣고 빚은 술을 항아리에 담고 봉해서 소나무 밑을 파고 묻었다가 이듬해 가을에 먹는 술이다. 송절주는 소나무옹이를 넣고 빚은 술이다. ♣ 생명 있는 모든 것에 눈맞추고 ♣ 생명 있는 모든 것을 사랑하는 ♣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 이맘때 야생화, 한국의 고택과 전통가옥, 물이 있는 풍경, 국보와 천연기념물, 세상의 모든 약초 약용식물, 곤충과 벌레를 찾아나서는 나그네의 여행 앨범입니다.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나그네의 전국 구석구석 여행
티스토리, TISTORY http://muhsk1.tistory.com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nageune-ui guseogguseog yeohaeng Every corner of the stranger modeun geos-eulobuteo jayuin, muhak Free from all, obscure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나그네의 전국 구석구석 여행

--------------------------------------------------------------------------------------------------

nageune-ui guseogguseog yeohaeng
Every corner of the stranger
modeun geos-eulobuteo jayuin, muhak
Free from all, obscure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의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의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의 전국 구석구석 여행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전국 구석구석 여행 muhak 나구여!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무학의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muhak 나구여!


728x90
반응형
Posted by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