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의 세시풍속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문덕리 미래마을
@문백면
충북 진천군 남부에 있는 면
면적 60.33km2. 인구 4,349(1999). 11개리로 이루어져 있다. 남쪽으로청원군, 동쪽으로 초평면(草坪面), 북쪽으로 진천읍, 서쪽으로 충남 천안시와 접한다. 면의 중앙에 양천산(凉泉山:350m)이 솟아 있으며, 북부 백곡천(栢谷川)과 미호천(美湖川)의 합류지역을 제외하면 대부분 해발고도 200∼300m의 저산성 구릉지이다. 논은 백곡천과 미호천의 합류지역과 미호천 지류의 산간지역에 좁게 분포하여 쌀 생산은 적으나, 구릉지의 완사면을 이용한 밭농사로 보리 ·잡곡 ·잎담배 등의 생산이 많다. 부업으로 양잠이 성하여 농가소득을 올리고 있다. 교통은 진천~청주를 남북으로 연결하는 지방도가 있다.
【문화재】 유희원(柳希願)효자문, 양천성지(凉天城址), 진천옥성리사지(鎭川玉城里寺址)·성지(城址), 정송강사(鄭松江祠)·정철신도비(鄭澈神道碑:지방기념물 9), 임수전(林秀鵡) 충신문, 은진송씨(恩津宋氏)열녀문, 최유경(崔有慶)효자문, 진천농교(籠橋:지방유형문화재 28), 어수정(御水井), 사양영당(思陽影堂) 등이 있다.
〈정송강사〉 조선 선조 때의 우의정이며 시인이었던 송강 정철의 위패를 봉안한 사당. 원래 경기 고양시에 있던 것을 1665년(현종 6) 송시열(宋時烈)이 묘소를 다시 정하여 후손 포(浦)가 현위치로 이장하고 사우(祠宇)를 창건하였다. 목조와가 정면 4칸, 측면 3칸의 단청 맞배지붕이며, 1973년 보수하였다.
〈정철신도비〉 비신(碑身)·비개(碑蓋) 등이 모두 화강암으로 되어 있으며 비문은 4면에 음각하였는데 후면과 동면(東面)은 송시열이 추기(追記)한 것이다.
〈진천농교〉 보통 농다리라고 부른다. 신라시대에 만든 것으로 추정되며, 길이 93m, 높이 1.5m, 너비 약 1m이다. 고기비늘 모양으로 쌓은 것이 특이하다. 신라의 군사적 요로였던 곳이다.
♣ 생명 있는 모든 것에 눈맞추고
♣ 생명 있는 모든 것을 사랑하는
♣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 이맘때 야생화, 한국의 고택과 전통가옥, 물이 있는 풍경, 국보와 천연기념물, 세상의 모든 약초 약용식물, 곤충과 벌레를 찾아나서는 @muhak나구여! 여행 앨범입니다.
티스토리, TISTORY http://muhsk1.tistory.com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nageune-ui guseogguseog yeohaeng Every corner of the stranger modeun geos-eulobuteo jayuin, muhak Free from all, obscure
--------------------------------------------------------------------------------------------------
nageune-ui guseogguseog yeohaeng
Every corner of the stranger
modeun geos-eulobuteo jayuin, muhak
Free from all, obscure
728x90
반응형
'한국의 민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세시풍속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명암리 (0) | 2022.02.07 |
---|---|
한국의 세시풍속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면 구산리 상구마을 (0) | 2022.02.07 |
한국의 세시풍속 충청북도, 청원군 문의면 소전리 (0) | 2022.02.05 |
한국의 세시풍속 충청북도, 청원군 강내면 저산리 (0) | 2022.02.05 |
한국의 세시풍속 충청북도, 청원군 미원면 계원리 (0) | 2022.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