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
국악기 중 토부(土部)에 속하는 타악기
점토로 화로같이 만들어 구워낸 악기이며, 위쪽 가장자리를 9갈래로 쪼갠 대나무 채[四杖]로 쳐서 소리낸다. 소리가 잘 나고 안 남은 흙이 잘 구워지고 못 구워진 데 달렸으며, 소리의 높고 낮음은 흙의 두께 및 운두의 깊고 얕음에 따라 다르다. 중국 주(周)나라 때부터 아악에 썼다 하며 진왕(秦王)과 조왕(趙王)이 승지(繩池)에 모였을 때 진왕이 부를 쳤다는 고사는 유명하다. 한국에는 언제 들어왔는지 확실하지 않으나, 조선 세종 때 박연(朴堧)이 당시 사용하던 부가 좋지 않아 마포강가에서 완전한 부 10개를 만들어 사용하였다는 《세종실록》의 기록이 있다. 즉, 음정이 다른 10개의 부를 늘어놓고 한 사람이 각각 부 1개를 쳤다는 뜻인데, 현재는 1개의 부만이 문묘제례 때 편성되고 있다. 치는 방법은 한 음이 규칙적으로 4박씩 계속되는 경우 제1박에서는 쉬고, 제2박에서는 1번, 제3박에서는 2번, 제4박에서는 굴려서 소리낸다.
@삭고
국악기 중 혁부(革部)에 속하는 타악기
북의 일종으로 삭비(朔)라고도 한다. 엎드린 4마리 호랑이[四虎]의 등 위에 틀을 세우고 지름 1자 4치 4푼, 길이 2자 6치 3푼의 긴 북을 매달았다. 틀 위는 해의 모양을 그리고 흰 칠을 하였다. 고려 때부터 쓰기 시작하여 조선시대에는 조회와 연향(宴享) 때 대궐 뜰의 서쪽에 놓고서 음악의 시작을 알렸다. 《악학궤범(樂學軌範)》에 “삭고는 시작을 성하게 하는 북으로 전정헌가(殿庭軒架)에 사용한다”고 하였다. 현재는 사용되지 않으며 악기만 전한다.
♣ 생명 있는 모든 것에 눈맞추고
♣ 생명 있는 모든 것을 사랑하는
♣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 이맘때 야생화, 한국의 고택과 전통가옥, 물이 있는 풍경, 국보와 천연기념물, 세상의 모든 약초 약용식물, 곤충과 벌레를 찾아나서는 @muhak나구여! 여행 앨범입니다.
티스토리, TISTORY http://muhsk1.tistory.com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nageune-ui guseogguseog yeohaeng Every corner of the stranger modeun geos-eulobuteo jayuin, muhak Free from all, obscure
--------------------------------------------------------------------------------------------------
nageune-ui guseogguseog yeohaeng
Every corner of the stranger
modeun geos-eulobuteo jayuin, muhak
Free from all, obscure
728x90
반응형
'아하! 그렇군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국악기 중 목부(木部)에 속하는 체명악기), 방향(국악기 중 금부(金部)에 속하는 타악기) (0) | 2021.08.31 |
---|---|
법고(절에서 불교의식에 쓰이는 북), 범종(법고)절에서 불교의식에 쓰이는 북 (0) | 2021.08.30 |
생황(아악에 쓰이는 관악기), 세피리(국악기 중 죽부(竹部)에 속하는 관악기) (0) | 2021.08.30 |
소(국악기 중 죽부(竹部)에 속하는 관악기), 버꾸(주로 농악에 쓰이는 작은 북) (0) | 2021.08.30 |
수공후(국악기 중 사부(絲部)에 속하는 발현악기), 슬(국악기 중 사부(絲部)에 속하는 현악기) (0) | 2021.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