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소
국악기 중 죽부(竹部)에 속하는 관악기
봉소(鳳簫)라고도 한다. 중국에서는 순제(舜帝) 때부터 사용하였다고 하며, 한국에는 1114년(고려 예종 9) 안직승(安稷承)이 송나라에서 돌아올 때 들여왔다는 기록이 있다. 그러나 약 4세기경에 영조된 것으로 보이는 안악 제3호분(安岳第三號墳:冬壽墓)의 벽화나 고구려 고분벽화에도 소의 그림이 보인다. 현재 한국에서 쓰고 있는 소는 16개의 관(管)을 가졌으나 원래는 12관 ·24관 등 여러 종류가 있었다고 한다.
@버꾸
주로 농악에 쓰이는 작은 북
혁부(革部)에 속하는 타악기의 하나로 벅구 ·매구북 ·소고(小鼓)라고도 한다. 지방마다 크기와 모양이 조금씩 다르나 대개 얇은 가죽으로 메운 운두가 낮고 지름이 7치쯤 되는 둥근 북통에 짧은 나무자루를 달았으며, 북면에는 개가죽을 씌웠으나 근래에는 쇠가죽을 쓴 것도 많다. 북채는 길이 약 15cm에 손가락 굵기의 나무로 만들었으며 양쪽 북면과 북통을 쳐서 소리낸다. 농악과 민속악의 노래 ·춤 등의 소도구로도 많이 쓰이며, 두드리는 소리보다 버꾸를 가지고 노는 모양을 더 중시한다. 영동농악에서는 크기에 따라 버꾸와 소고를 구분하고 있으나 기타 지방에서는 구분이 따로 없다.
♣ 생명 있는 모든 것에 눈맞추고
♣ 생명 있는 모든 것을 사랑하는
♣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 이맘때 야생화, 한국의 고택과 전통가옥, 물이 있는 풍경, 국보와 천연기념물, 세상의 모든 약초 약용식물, 곤충과 벌레를 찾아나서는 @muhak나구여! 여행 앨범입니다.
티스토리, TISTORY http://muhsk1.tistory.com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nageune-ui guseogguseog yeohaeng Every corner of the stranger modeun geos-eulobuteo jayuin, muhak Free from all, obscure
--------------------------------------------------------------------------------------------------
nageune-ui guseogguseog yeohaeng
Every corner of the stranger
modeun geos-eulobuteo jayuin, muhak
Free from all, obscure
728x90
반응형
'아하! 그렇군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국악기 중 토부(土部)에 속하는 타악기), 삭고(국악기 중 혁부(革部)에 속하는 타악기) (0) | 2021.08.30 |
---|---|
생황(아악에 쓰이는 관악기), 세피리(국악기 중 죽부(竹部)에 속하는 관악기) (0) | 2021.08.30 |
수공후(국악기 중 사부(絲部)에 속하는 발현악기), 슬(국악기 중 사부(絲部)에 속하는 현악기) (0) | 2021.08.30 |
아쟁(국악기 중 사부(絲部)에 속하는 칠현(七絃)의 찰현악기), 약(국악기 중 죽부(竹部)에 속하는 관악기) (0) | 2021.08.30 |
양금(국악기 중 사부(絲部)에 속하는 현악기), 어(국악기 중 목부(木部)에 속하는 체명악기) (0) | 2021.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