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허 성씨. 본관은 양천(陽川)·하양(河陽)·김해(金海)·태인(泰仁)·함창(咸昌) 외에 수원(水原)·양주(梁州:梁山) 등이 문헌에 나와 있다. 그 연원을 멀리 가락국(駕洛國) 김수로왕(金首露王:김해김씨의 시조)의 비(妃) 허황옥(許黃玉)에게 둔다. 허황후(許皇后)는 본래 인도의 아유타국(阿踰陀國)의 공주로서, 배를 타고 지금의 경남 진해시 운동 앞바다에 이르러 수로왕의 영접을 받고 그의 아내가 되었다고 한다. 그 뒤 허황후는 아들 10명을 낳았는데, 맏아들 등(登)은 김씨(金氏)로 정통을 잇게 하고, 두 아들은 황후의 뜻을 살려 허씨로 사성(賜姓)하였으며, 나머지 일곱 아들은 불가(佛家)에 귀의하여 하동칠불(河東七佛:경남 하동에 七佛寺가 있다)로 성불하였다고 한다. 따라서 김해김씨는 부성(父姓), 허씨는 모성(母姓)을 각각 계승했다는 전설 때문에 오늘날에도 두 성씨는 상혼(相婚)을 피한다. 앞에 든 허씨의 각 본관의 시조는 가락국이 신라에게 패하여 망하면서 각 지방에 흩어진 왕손이라고 하는데, 그 중 양천허씨의 시조인 허선문(許宣文)은 지금의 경기 김포군 양천인 공암촌(孔岩村)에 자리를 잡고 농사를 지으며 살다가, 고려의 태조가 후백제의 견훤(甄萱)을 정벌할 때 군량을 보급해준 공로로 공암촌을 식읍(食邑)으로 하사받고 촌주(村主)가 되었다는 전설이 있다. 고려 중기에 왕실의 외척으로 세력을 떨친 이자연(李子淵)·이자겸(李資謙) 등 인천이씨(仁川李氏)도 원래는 허씨였는데, 고려 때 허겸(許謙)이라는 사람이 소성백(邵城伯:邵城은 현재의 仁川)으로 있으면서 그의 선대에 당나라에 사신으로 들어갔다가 천자로부터 이성(李姓)을 하사받은 일이 있어 이씨로 성을 바꾸었다고 한다. 그러니까 김해김씨에서 허씨가, 허씨에서 인천이씨가 갈려 나왔다는 것으로, 이들 3성은 오늘날 가락종친회를 중심으로 혈족으로서의 유대를 긴밀히 맺고 있다. 허씨의 대표적 인물 중 조선 성종 때 우의정을 지낸 종(琮)과 연산군 때 역시 우의정을 지낸 침(琛)은 친형제로서, 모두 현상(賢相)으로서 청백리에 뽑혔다. 또한, 엽(曄)은 선조 때의 동서(東西)분쟁 당시 동인(東人)의 영수가 되었으며, 슬하에 성(筬)·봉(載)·난설헌(蘭雪軒)·균(筠) 4남매가 있어 모두 시문에 뛰어났다. 특히 난설헌은 규수시인으로 이름나 황진이(黃眞伊)·신사임당(申師任堂)과 함께 ‘3대 여류’로 꼽히며, 균은 서얼을 차별대우하는 봉건적 사회제도의 개혁을 부르짖은 사회소설 《홍길동전(洪吉童傳)》의 저자로 널리 알려졌다. 목(穆)은 당대의 석유(碩儒)인 송시열(宋時烈)과 쌍벽을 이룬 학자로, 학문 ·문장 ·서예에 뛰어나 ‘학 ·문 ·서의 3고(古)’라 일컬어졌다. 그는 학문이 깊으면서도 56세 때 처음으로 참봉에 천거되었으나 나아가지 않다가 63세에 비로소 사헌부 지평이 되었고, 80세가 되어서 남인(南人)이 집권하자 우의정에 올랐다. 이 무렵 송시열 등 서인(西人)에 대한 처벌문제가 대두되어 남인의 영수로서 영의정 자리에 있던 적(積:13촌간)과 의견이 맞서 강경론자인 목은 ‘청남(淸南)’으로, 온건파인 적은 ‘탁남(濁南)’으로 분파되었다. 한편, 하양허씨의 인물로는 세종 때 좌의정을 지낸 조(稠)를 들 수 있다. 이 밖에 허씨의 인물로는 중종 때 관찰사 ·예조판서 등을 역임한 굉(理), 선조때 의학의 대가로 중국 ·일본에서까지 번역되었고 현재에도 동양 3국에서는 한의학의 성서로 유명한 《동의보감》 25권을 펴낸 준(浚), 성종 때 직제학 ·대사간을 지냈고 명필로 알려진 계(誡) 등이 있으며, 한말의 의병장으로 1962년 건국공로훈장이 수여된 위(蔿)가 있다. 허씨는 조선시대 문과급제자 122명, 상신(相臣) 6명을 배출하였으며, 고려 때에는 재(載)·경(慶)·공(珙)·호(蒿)·금(錦) 등의 명신이 나왔다. 1960년도 국세조사에서는 2만 8685가구에 인구 16만 2407명으로 성별순위는 258성 중 29위였고, 85년도 조사에서는 가구수 6만 3037가구, 인구 26만 4228명으로 274성 중 역시 29위였다. ♣ 생명 있는 모든 것에 눈맞추고 ♣ 생명 있는 모든 것을 사랑하는 ♣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 이맘때 야생화, 한국의 고택과 전통가옥, 물이 있는 풍경, 국보와 천연기념물, 세상의 모든 약초 약용식물, 곤충과 벌레를 찾아나서는 나그네의 여행 앨범입니다.


티스토리, TISTORY
https://muhsk1.tistory.com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nageune-ui guseogguseog yeohaeng Every corner of the stranger modeun geos-eulobuteo jayuin, muhak Free from all, obscure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나그네의 전국 구석구석 여행

--------------------------------------------------------------------------------------------------

nageune-ui guseogguseog yeohaeng
Every corner of the stranger
modeun geos-eulobuteo jayuin, muhak
Free from all, obscure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의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의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의 전국 구석구석 여행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전국 구석구석 여행 muhak 나구여!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무학의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muhak 나구여!


728x90
반응형

'한국의 100대 성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성씨, 남(南)  (0) 2021.01.18
한국의 성씨, 유(劉)  (0) 2021.01.18
한국의 성씨, 백(白)  (0) 2021.01.17
한국의 성씨, 조(曺)  (0) 2021.01.16
한국의 성씨, 배(裵)  (0) 2021.01.16
Posted by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