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세상의 모든 한약재 096 무화과, 무화과나무의 열매 가나다 순으로 정리 001. 가자, 가지의 열매 357. 희렴, 진득찰의 지상부 각 항목 수록 내용과 순서 약재명, 이명, 학명, 기원, 주의, 효능, 독성정보, 성상, 채집시기, 가공 무화과나무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뽕나무과의 낙엽관목. 전남과 경남에서 재배하고, 북쪽에서는 온실에서 기른다. 높이 2∼4m이고 가지는 굵으며 갈색 또는 녹갈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난형으로 길이 10∼20cm이며 3∼5개로 깊게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끝이 둔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5맥이 있다. 표면은 거칠고 뒷면에는 털이 있으며 상처를 내면 흰 젖 같은 유액(乳液)이 나온다. 봄부터 여름에 걸쳐 잎겨드랑이에 열매 같은 꽃이삭이 달리고 안에 작은 꽃이 많이 달린다. 겉에서 꽃이 보이지 않으므로 무화과나무라고 부른다. 암꽃은 화피갈래조각이 3개이고 2가화이지만 수나무는 보이지 않는다. 열매는 꽃턱이 자란 것이며 도란형이고 길이 5∼8cm로서 8∼10월에 검은 자주색 또는 황록색으로 익으며 날것으로 먹거나 잼을 만든다. 종자에는 배(胚)가 없으므로 꺾꽂이로 번식시킨다. 열매를 완하제(緩下劑)로 사용하고 민간에서는 유액을 치질 및 살충제로 사용한다. 서양에는 무화과나무에 대한 전설이 많다. 금단(禁斷)의 나무 또는 생명의 나무 열매를 먹은 아담과 하와가 무화과나무의 잎으로 허리를 감쌌다고 한다. 예수께서 베타니아에서 멀리 무화과나무가 있는 것을 보고 열매를 찾았으나, 없기에 실망하여 “이제부터 너는 영원히 열매를 맺지 못하여 아무도 너에게서 열매를 따먹지 못할 것이다”라고 저주하였던 바, 다음날 제자들이 그 나무가 송두리째 죽었음을 발견하였다는 이야기가 성서에 실려 있다. 로마에서는 바쿠스(Bacchus)라는 주신(酒神)이 무화과나무에 열매가 많이 달리는 방법을 가르쳐 주었다고 다산(多産)의 표지로 삼고 있다. 꽃말의 ‘다산’이란 뜻은 여기에서 유래되었을 것이다. 아시아 서부에서 지중해에 걸쳐 자생한다. ♣ 생명 있는 모든 것에 눈맞추고 ♣ 생명 있는 모든 것을 사랑하는 ♣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 이맘때 야생화, 한국의 고택과 전통가옥, 물이 있는 풍경, 국보와 천연기념물, 세상의 모든 약초 약용식물, 곤충과 벌레를 찾아나서는 나그네의 여행 앨범입니다.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나그네의 전국 구석구석 여행
티스토리, TISTORY https://muhsk1.tistory.com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nageune-ui guseogguseog yeohaeng Every corner of the stranger modeun geos-eulobuteo jayuin, muhak Free from all, obscure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나그네의 전국 구석구석 여행

--------------------------------------------------------------------------------------------------

nageune-ui guseogguseog yeohaeng
Every corner of the stranger
modeun geos-eulobuteo jayuin, muhak
Free from all, obscure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의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의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의 전국 구석구석 여행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전국 구석구석 여행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무학의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728x90
반응형
Posted by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
반응형


세상의 모든 한약재 095 몽석, 흑운모편석 및 흑운모탄산염편 가나다 순으로 정리 001. 가자, 가지의 열매 357. 희렴, 진득찰의 지상부 각 항목 수록 내용과 순서 약재명, 이명, 학명, 기원, 주의, 효능, 독성정보, 성상, 채집시기, 가공 ♣ 생명 있는 모든 것에 눈맞추고 ♣ 생명 있는 모든 것을 사랑하는 ♣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 이맘때 야생화, 한국의 고택과 전통가옥, 물이 있는 풍경, 국보와 천연기념물, 세상의 모든 약초 약용식물, 곤충과 벌레를 찾아나서는 나그네의 여행 앨범입니다.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나그네의 전국 구석구석 여행
티스토리, TISTORY https://muhsk1.tistory.com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nageune-ui guseogguseog yeohaeng Every corner of the stranger modeun geos-eulobuteo jayuin, muhak Free from all, obscure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나그네의 전국 구석구석 여행

--------------------------------------------------------------------------------------------------

nageune-ui guseogguseog yeohaeng
Every corner of the stranger
modeun geos-eulobuteo jayuin, muhak
Free from all, obscure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의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의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의 전국 구석구석 여행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전국 구석구석 여행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무학의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728x90
반응형
Posted by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
반응형


세상의 모든 한약재 093 목향, 목향의 뿌리 가나다 순으로 정리 001. 가자, 가지의 열매 357. 희렴, 진득찰의 지상부 각 항목 수록 내용과 순서 약재명, 이명, 학명, 기원, 주의, 효능, 독성정보, 성상, 채집시기, 가공 목향 초롱꽃목 국화과의 다년초. 유럽과 북아시아 원산으로 높이 0.8∼2m이다. 전체에 털이 밀생하고 약초로 재배한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뒷면에 털이 밀생한다. 꽃은 7∼8월에 피고 지름 5∼10cm로 황색이며 잎겨드랑이에 두상화(頭狀花)가 1개씩 달린다. 총포(總苞)는 반구형이고 길이 24mm이며, 바깥의 포편은 난형이고 잎에서와 같은 털이 밀생한다. 수과(瘦果)에 연한 적갈색 관모(冠毛)가 있다. 뿌리를 발한 ·이뇨 ·거담제로 사용하며 구충성분이 있다. ♣ 생명 있는 모든 것에 눈맞추고 ♣ 생명 있는 모든 것을 사랑하는 ♣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 이맘때 야생화, 한국의 고택과 전통가옥, 물이 있는 풍경, 국보와 천연기념물, 세상의 모든 약초 약용식물, 곤충과 벌레를 찾아나서는 나그네의 여행 앨범입니다.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나그네의 전국 구석구석 여행
티스토리, TISTORY https://muhsk1.tistory.com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nageune-ui guseogguseog yeohaeng Every corner of the stranger modeun geos-eulobuteo jayuin, muhak Free from all, obscure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나그네의 전국 구석구석 여행

--------------------------------------------------------------------------------------------------

nageune-ui guseogguseog yeohaeng
Every corner of the stranger
modeun geos-eulobuteo jayuin, muhak
Free from all, obscure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의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의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의 전국 구석구석 여행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전국 구석구석 여행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무학의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728x90
반응형
Posted by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
반응형


세상의 모든 한약재 092 목통, 으름덩굴의 목질경 가나다 순으로 정리 001. 가자, 가지의 열매 357. 희렴, 진득찰의 지상부 각 항목 수록 내용과 순서 약재명, 이명, 학명, 기원, 주의, 효능, 독성정보, 성상, 채집시기, 가공 으름덩굴과 쌍떡잎식물 이판화군의 한 과. 상록 또는 낙엽 덩굴식물이다. 잎은 어긋나며 장상복엽(掌狀複葉)이고, 꽃은 1가화이며 3수이다. 7속(屬) 15종(種)이 아시아와 남아메리카에 분포한다. 한국에는 으름속과 멀꿀속의 2속에 각각 으름과 멀꿀의 2종이 자라고 있다. ♣ 생명 있는 모든 것에 눈맞추고 ♣ 생명 있는 모든 것을 사랑하는 ♣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 이맘때 야생화, 한국의 고택과 전통가옥, 물이 있는 풍경, 국보와 천연기념물, 세상의 모든 약초 약용식물, 곤충과 벌레를 찾아나서는 나그네의 여행 앨범입니다.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나그네의 전국 구석구석 여행
티스토리, TISTORY https://muhsk1.tistory.com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nageune-ui guseogguseog yeohaeng Every corner of the stranger modeun geos-eulobuteo jayuin, muhak Free from all, obscure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나그네의 전국 구석구석 여행

--------------------------------------------------------------------------------------------------

nageune-ui guseogguseog yeohaeng
Every corner of the stranger
modeun geos-eulobuteo jayuin, muhak
Free from all, obscure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의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의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의 전국 구석구석 여행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전국 구석구석 여행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무학의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728x90
반응형
Posted by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
반응형


세상의 모든 한약재 091 목적, 속새의 지상부 전초 가나다 순으로 정리 001. 가자, 가지의 열매 357. 희렴, 진득찰의 지상부 각 항목 수록 내용과 순서 약재명, 이명, 학명, 기원, 주의, 효능, 독성정보, 성상, 채집시기, 가공 속새 속새과의 상록 양치식물. 습한 그늘에서 자란다. 높이 30∼60 cm이고 짙은 녹색이며, 땅속줄기가 옆으로 벋으면서 총생한다. 뚜렷한 마디와 능선이 있고 잎은 퇴화하여 잎집같다. 잎집에 톱니처럼 생긴 것이 잎이며 10∼18개씩이다. 포자낭 이삭은 원줄기 끝에 달리고 원뿔형이며 녹갈색에서 황색으로 변한다. 능선에 규산염이 축적되어 딱딱하므로 나무의 면을 갉아내는 데 쓴다. 한방에서는 전초를 장출혈과 지혈제로 사용한다. 한국(제주 및 강원 이북)·일본 ·캄차카 ·중국 동북부 ·시베리아 ·투르키스탄 ·히말라야 ·유럽 및 북아메리카에 분포한다. ♣ 생명 있는 모든 것에 눈맞추고 ♣ 생명 있는 모든 것을 사랑하는 ♣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 이맘때 야생화, 한국의 고택과 전통가옥, 물이 있는 풍경, 국보와 천연기념물, 세상의 모든 약초 약용식물, 곤충과 벌레를 찾아나서는 나그네의 여행 앨범입니다.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나그네의 전국 구석구석 여
티스토리, TISTORY https://muhsk1.tistory.com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nageune-ui guseogguseog yeohaeng Every corner of the stranger modeun geos-eulobuteo jayuin, muhak Free from all, obscure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나그네의 전국 구석구석 여행

--------------------------------------------------------------------------------------------------

nageune-ui guseogguseog yeohaeng
Every corner of the stranger
modeun geos-eulobuteo jayuin, muhak
Free from all, obscure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의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의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의 전국 구석구석 여행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전국 구석구석 여행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무학의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728x90
반응형
Posted by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
반응형


세상의 모든 한약재 087 모과, 모과나무의 과실 가나다 순으로 정리 001. 가자, 가지의 열매 357. 희렴, 진득찰의 지상부 각 항목 수록 내용과 순서 약재명, 이명, 학명, 기원, 주의, 효능, 독성정보, 성상, 채집시기, 가공 모과나무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교목. 중국 원산이며 관상수 ·과수 또는 분재용으로 심는다. 나무껍질이 조각으로 벗겨져서 운문상(雲紋狀)으로 된다. 높이 10m에 달한다. 어린 가지에 털이 있으며 2년생 가지는 자갈색의 윤기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상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다. 잎 윗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밑부분에는 선(腺)이 있으며 턱잎은 일찍 떨어진다. 꽃은 5월에 피고 지름 2.5∼3cm이며 1개씩 달린다. 꽃잎은 도란형이고 끝이 오목하다. 열매는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고 길이 10∼20cm, 지름 8∼15cm이며 목질이 발달해 있다. 9월에 황색으로 익으며 향기가 좋으나 신맛이 강하다. ♣ 생명 있는 모든 것에 눈맞추고 ♣ 생명 있는 모든 것을 사랑하는 ♣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 이맘때 야생화, 한국의 고택과 전통가옥, 물이 있는 풍경, 국보와 천연기념물, 세상의 모든 약초 약용식물, 곤충과 벌레를 찾아나서는 나그네의 여행 앨범입니다.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나그네의 전국 구석구석 여행
티스토리, TISTORY https://muhsk1.tistory.com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nageune-ui guseogguseog yeohaeng Every corner of the stranger modeun geos-eulobuteo jayuin, muhak Free from all, obscure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나그네의 전국 구석구석 여행

--------------------------------------------------------------------------------------------------

nageune-ui guseogguseog yeohaeng
Every corner of the stranger
modeun geos-eulobuteo jayuin, muhak
Free from all, obscure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의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의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의 전국 구석구석 여행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전국 구석구석 여행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무학의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728x90
반응형
Posted by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
반응형


세상의 모든 한약재 090 목단피, 모란의 뿌리 껍질 가나다 순으로 정리 001. 가자, 가지의 열매 357. 희렴, 진득찰의 지상부 각 항목 수록 내용과 순서 약재명, 이명, 학명, 기원, 주의, 효능, 독성정보, 성상, 채집시기, 가공 모란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미나리아재비과의 낙엽관목. 목단(牧丹)이라고도 한다. 높이 2m이며 각처에서 재배하고 있다. 가지는 굵고 털이 없다. 잎은 3엽으로 되어 있고 각각 3∼5개로 갈라진다. 잎 표면은 털이 없고 뒷면은 잔털이 있으며 흔히 흰빛이 돈다. 꽃은 양성으로 5월에 피고 지름 15 cm 이상이며 꽃턱이 주머니처럼 되어 씨방을 둘러싼다. 꽃받침조각은 5개이고 꽃잎은 8개 이상이며 크기와 형태가 같지 않고 도란형으로서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결각이 있다. 수술은 많고 암술은 2∼6개로서 털이 있다. 열매는 9월에 익고 내봉선(內縫線)에서 터져 종자가 나오며, 종자는 둥글고 흑색이다. 많은 재배품종이 있으며 뿌리껍질을 소염 ·두통 ·요통 ·건위 ·지혈 등에 쓴다. 모란을 심는 적기는 10월 상순~11월 상순이며 토양은 메마르지 않은 양토(壤土)가 적당하다. 번식은 실생(實生)·포기나누기 ·접붙이기의 3가지 방법이 있다. 모란의 종류는 발달 과정에 따라 중국종 ·일본종 ·프랑스종의 3계통으로 구분하고, 개화기에 따라 보통종과 겨울모란으로 나눈다. 꽃말은 ‘부귀’이다. ♣ 생명 있는 모든 것에 눈맞추고 ♣ 생명 있는 모든 것을 사랑하는 ♣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 이맘때 야생화, 한국의 고택과 전통가옥, 물이 있는 풍경, 국보와 천연기념물, 세상의 모든 약초 약용식물, 곤충과 벌레를 찾아나서는 나그네의 여행 앨범입니다.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나그네의 전국 구석구석 여행
티스토리, TISTORY https://muhsk1.tistory.com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nageune-ui guseogguseog yeohaeng Every corner of the stranger modeun geos-eulobuteo jayuin, muhak Free from all, obscure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나그네의 전국 구석구석 여행

--------------------------------------------------------------------------------------------------

nageune-ui guseogguseog yeohaeng
Every corner of the stranger
modeun geos-eulobuteo jayuin, muhak
Free from all, obscure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의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의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의 전국 구석구석 여행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전국 구석구석 여행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무학의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728x90
반응형
Posted by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
반응형


세상의 모든 한약재 089 목근피, 무궁화나무의 줄기 껍질 가나다 순으로 정리 001. 가자, 가지의 열매 357. 희렴, 진득찰의 지상부 각 항목 수록 내용과 순서 약재명, 이명, 학명, 기원, 주의, 효능, 독성정보, 성상, 채집시기, 가공 무궁화 아욱과의 낙엽관목. Ⅰ. 개관 아욱과의 낙엽관목. 근화(槿花)라고도 한다. 대한민국의 국화(國花)이다. 무궁화는 한자어이지만 중국 문헌에는 나타나지 않고, 다만 《산해경》에 한국에 훈화초(薰華草:무궁화)가 있다는 기록이 있다. 내한성(耐寒性)으로 높이 2∼4m이고 때로는 거의 교목이 되는 것도 있다. 전체에 털이 없고 많은 가지를 치며 회색을 띤다. 잎은 늦게 돋아나고 어긋나며 자루가 짧고 마름모꼴 난형으로 얕게 3개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은 반드시 새로 자란 잎겨드랑이에서 하나씩 피고 대체로 종(鍾) 모양이며 자루는 짧다. 꽃은 지름 7.5cm 정도이고 보통 홍자색 계통이나 흰색 ·연분홍색 ·분홍색 ·다홍색 ·보라색 ·자주색 ·등청색 ·벽돌색 등이 있다. 꽃의 기부(基部)에는 진한 색의 무늬가 있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이 무늬에서 진한 빛깔의 맥(脈)이 밖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뻗는다. 꽃은 홑꽃과 여러 형태의 겹꽃이 있다. 홑꽃의 꽃잎은 대체로 도란형으로 5개인데 기부에서는 서로 붙어 있다. 겹꽃은 암술이 꽃잎으로 변한 것으로 그 변한 정도가 다양하다. 수술은 많은 단체수술이고 암술대는 수술통 중앙부를 뚫고 나오며 암술머리는 5개이다. 꽃받침조각은 난상 피침형인데 성모(星毛)가 있고, 외부에는 꽃받침보다 짧은 선형(線形)의 외악(外鮫)이 있다. 열매는 길쭉한 타원형으로5실(室)이고 10월에 익으며 5개로 갈라진다. 종자는 편평하며 털이 있다. 꽃이 아름답고 화기(花期)는 7∼10월로 길어서 정원 ·학교 ·도로변 ·공원 등의 조경용과 분재용 및 생울타리로 널리 이용된다. Ⅱ. 품종 한국명의 우수 원예품종에는 다음과 같은 종이 있다. 배달계에는 1. 눈보라:겹꽃, 순백색 2. 배달:대형, 홑꽃, 순백색 3. 사임당(思任堂):반겹꽃, 순백색 4. 새한:겹꽃, 순백색 5. 소월(素月):소형, 홑꽃, 순백색 6. 옥선(玉仙):소형, 홑꽃, 순백색 7. 옥토끼:대형, 홑꽃, 순백색 8. 한서(翰西):대형, 홑꽃, 순백색 9. 눈뫼:반겹꽃, 백색 등이 있다. 백단심계에는 1. 새빛:반겹꽃, 백색 2. 백단심:홑꽃, 백색 3. 설악:겹꽃, 순백색 4. 일편단심:소형, 백색, 단심 5. 한마음:홑꽃, 백색 6. 화랑(花郞):대형, 홑꽃, 담홍색 7. 한얼:반겹꽃, 백색 등이 있다. 홍단심계에는 1. 계월향(桂月香):홑꽃, 분홍색 2. 고요로:홑꽃, 분홍색 3. 꽃보라:겹꽃, 홍색 4. 내사랑:겹꽃, 홍색 5. 산처녀:반겹꽃, 진홍색 6. 새아침:홑꽃, 선홍색 7. 수줍어:홑꽃, 다홍색 8. 아사녀:반겹꽃, 진홍색 9. 에밀레:홑꽃, 분홍색 10. 영광:대형, 홍색 11. 홍단심(紅丹心):홑꽃, 연한 자주색 12. 원술랑:대형, 홍색 13. 첫사랑:겹꽃, 선홍색 14. 홍순(紅脣):반겹꽃, 주홍색 15. 홍화랑:대형, 홑꽃, 홍색 등이 있다. 청단심계에는 1. 자선(紫仙):소형, 겹꽃, 다홍색 2. 진이(眞伊):홑꽃, 분홍색 3. 파랑새:대형, 홑꽃, 담청색 등이 있다. 아사달계에는 1. 아사달:소형, 홑꽃, 얼룩무늬 2. 평화:겹꽃, 엷은 분홍색 등이 있다. 또한 최근에 개발된 심산은 우정과 한사랑을 교배하여 얻은 돌연변이로 재래종과는 달리 밤에도 꽃이 피고 개화시간도 3배나 길다. 외국의 우수 원예품종에는 다음과 같은 종이 있다. 1. 다이아나(Diana):대형, 홑꽃, 백색 2. 메이로빈슨(May Robinson):홑꽃, 주황색 3. 대덕사백(大德寺白):대형, 홑꽃, 순백색 4. 나쓰소라(Natsusora):대형, 홑꽃, 엷은 자주색 5. 블루버드(Blue Bird):대형, 홑꽃, 엷은 청색 6. 옥토(玉兎):대형, 홑꽃, 순백색 7. 우아조블 뢰(Oiseau Bleu):대형, 홑꽃, 엷은 청색 8. 몽트루플레누스(Monstrous Plenus):홑꽃, 백색 9. 모브퀸(Mauve Queen):홑꽃, 진분홍색 10. 우드브리지(Wood Bridge):홑꽃, 자주색 11. 스노우드립트(Snow Drift):대형, 홑꽃, 순백색 12.페즌트아이(Pheasant Eye):홑꽃, 백색 13. 봉주아(Bonjoia):홑꽃, 적색 14. 캄파나(Campanha):홑꽃, 적색 15. 하마보(Hamabo):홑꽃, 백색과 분홍색의 얼룩 16. 그랜디플로루스 수프림(Grandiflorus Supreme):홑꽃, 순백색 17. 핑크 딜라이트(Pink Delight):반겹꽃, 백색과 분홍색의 이중색 18. 루빈(Rubin):홑꽃, 암홍색 19. 발렌타인(Valentine):반겹꽃, 분홍색 20. 블루문(Blue Moon):겹꽃, 청색 21. 자옥(紫玉):겹꽃, 자주색 22. 애드미럴 듀이(Admiral Dewey):겹꽃, 순백색 23. 앰플리시무스(Amplissimus):겹꽃, 청색 24. 서드샤를브레통(Sir de Charles Breton):반겹꽃, 보라색 25. 뒤셰드브라방(Duchesse de Brabant):겹꽃, 적색 26. 아덴스(Ardens):겹꽃, 엷은 보라색 27. 폼폰루즈(Pom Pon Rouge):겹꽃, 다홍색 28. 래디스탠리(Lady Stanley):겹꽃, 연한 분홍색 29. 루시(Lucy):겹꽃, 진분홍색 30. 크라이더블루(Kreider Blue):겹꽃, 엷은 자주색 등이 있다. 이 밖에도 많은 품종이 있으며 때로는 동일품종이 나라에 따라서 서로 다른 품종명이 붙여져 있기도 하다. 꽃이 피는 시기에 따라 조생종 ·조중생종 ·중생종 ·중만생종 ·만생종이 있고 자라는 습성에 따라 직립고성 ·직립중성 ·직립왜성 ·수양고성 ·수양중성 ·수양왜성이 있다. 한국에서는 제2차 세계대전 후에 서울대학 농과대학의 화훼학 교실에서 류달영(柳達永)·염도의(廉道義) 교수팀이 많은 새 품종을 육성하여 처음으로 한국어로 품종명이 붙여지기 시작하였다. 또 동서양 여러 나라에서 우수 품종을 도입하기도 하였다. Ⅲ. 원산지와 유래 학명에 syriacus가 붙여진 것은 시리아 원산이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시리아가 원산지라는 데 대해서는 이론을 내세우는 학자가 많고 인도 ·중국이 원산지라는 설이 유력하다. 한국이 원산지냐 아니냐 하는 문제도 분명하지 않다. 그러나 원산지가 아니라고 하더라도 오래 전부터 한국에서 널리 재식되어온 것은 틀림없다. 무궁화의 품종에는 200여 종이 있고 동아군(東亞群)에 속하는 식물이다. 무궁화의 명칭은 중국에서는 목근(木槿)·순영(舜英)·순화(舜華)·훈화초(薰花草)·단(쓩)·친(漱)·일급(日及)·조개모낙화(朝開暮落花)·화노옥증(花奴玉蒸)·번리초(藩籬草) 등 여러 가지로 쓰였고, 무궁화로는 쓰여지지 않았다. 한국에서는 한자로 無窮花 ·無宮花 ·舞宮花로 쓰였는데, 최근에는 無窮花로만 쓰고 있다. 옛날부터 쓰여 오던 무궁화라는 한글명은 16세기부터 나타나는데 한자로는 목근화(木槿花)로 표기하고 있었다. 이로써 볼 때, 목근화 → 무긴화 → 무깅화 → 무궁화의 형태로 변했으며 여기에 뜻이 좋은 무궁화(無窮花)로 차음(借音)하여 표기하였음을 알 수 있다. 김정상(金正祥)은 그의 논문 《무궁화보(無窮花譜)》에서 1923년에 전남 완도군 소안면(所安面) 비자리(榧子里)에서는 노인들이 무궁화를 ‘무우게’로 부른다고 보고하였고 ‘무궁화’라는 꽃이름은 ‘무우게’에서 변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일본에서는 무쿠게[牟久計]·모쿠게아사가오[牟久計朝顔]·하치스 ·기하치스 등으로 쓰고 있는데 ‘무쿠게’는 한국에서 일본으로 무궁화가 도입될 때에 전해진 이름이다. ‘무쿠게’라는 한자가 오직 음만을 표시하고 별로 뜻이 없는 것으로 보아서 더욱 그렇게 믿어진다. 속명 Hibiscus는 이집트의 히비스신(Hibis神)을 닮았다는 뜻으로, 곧 히비스신처럼 아름답다는 뜻이다. 또 속명이 Althaea라고도 쓰였는데 그리스어로 ‘치료한다’라는 뜻이다. 영명(英名)으로 rose of sharon이라고 한 것은 가나안 복지 중에서 제일 좋은 곳 샤론에 피는 장미라고 하여 무궁화의 아름다움을 크게 찬미한 것이다. 무궁화가 유럽에 도입된 것은 1596년이다. ♣ 생명 있는 모든 것에 눈맞추고 ♣ 생명 있는 모든 것을 사랑하는 ♣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 이맘때 야생화, 한국의 고택과 전통가옥, 물이 있는 풍경, 국보와 천연기념물, 세상의 모든 약초 약용식물, 곤충과 벌레를 찾아나서는 나그네의 여행 앨범입니다.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나그네의 전국 구석구석 여행
티스토리, TISTORY https://muhsk1.tistory.com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nageune-ui guseogguseog yeohaeng Every corner of the stranger modeun geos-eulobuteo jayuin, muhak Free from all, obscure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나그네의 전국 구석구석 여행

--------------------------------------------------------------------------------------------------

nageune-ui guseogguseog yeohaeng
Every corner of the stranger
modeun geos-eulobuteo jayuin, muhak
Free from all, obscure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의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의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의 전국 구석구석 여행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전국 구석구석 여행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무학의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


728x90
반응형
Posted by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인
,